조사/감시보고
최근 지구 온난화, 국가 간 교류 증가 및 인간 행태 변화에 따라 비행기나 선박을 통하여 감염병 매개 모기가 국내로 유입될 위험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해외에서 유행하는 모기의 국내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고 모기 매개 감염병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2023년 국내 공항과 항만에서 총 29개 지점에서 6월부터 10월까지 월 2회 모기를 채집하였다. 채집을 위해 BG 트랩(BG-Sentinel trap)과 BL 트랩(black light trap)을 활용하였으며, 모기 분류 후 모기 내 플라비바이러스(뎅기바이러스, 황열바이러스, 웨스트나일바이러스, 일본뇌염바이러스 및 지카바이러스)검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감시 기간 중 채집된 모기종은 흰줄숲모기, 빨간집모기, 금빛숲모기 등 14종, 4,721마리였다. 채집 모기 종별 우점율은 웨스트나일열을 매개하는 빨간집모기가 54.6%,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12.1%, 뎅기열, 황열 및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등을 매개하는 흰줄숲모기는 10.4% 순으로 차지하였다. 이집트숲모기와 헤모고거스류 등 국내 미서식 감염병 매개 종 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얼룩날개모기류를 제외한 전체 모기를 대상으로 병원체 감염 여부를 검사한 결과 567건의 취합 검사 수 중 한 건의 빨간집모기에서 일본뇌염바이러스(Genotype V)가 검출되었고 그 외 플라비바이러스 4종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사업은 국내 미서식 감염병 매개 모기와 병원체의 유입을 감시할 뿐 아니라 검역구역인 공항과 항만 내 모기 발생 현황을 감시하고 방역 당국과 공유함으로써 감염병 매개 모기 방제 및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모기-사람 간 감염병 전파를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검역구역 내 모기 감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5; 18(10): 447-464
리뷰와 전망
흡연은 호흡기질환, 심혈관질환, 만성콩팥병 등 다양한 질병 및 사망의 위험인자이다. 일반 인구에서 금연은 만성콩팥병 발병과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금연이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불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KoreaN cohort study for Outcomes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KNOW-CKD) 코호트 자료를 바탕으로 만성콩팥병환자에서 금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흡연량 증가에 따라 신기능 악화, 관상동맥석회화, 심혈관계 질환 발생 및 사망 위험이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반면, 과거흡연자 중에서는 금연 기간이 길어질수록 이러한 위험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금연은 신기능 보호, 심혈관계 질환 예방 및 사망 위험 감소를 위해 권고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주제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므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금연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5; 18(10): 465-477
질병 통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5; 18(10): 478-479

최근 원고

더보기 +

온라인 우선 출판

더보기 +

많이 읽은 원고

더보기 +

많이 인용된 원고

더보기 +

Submit Your Manuscript!

If you want to submit your manuscript to us,
please submit it through the online system now.

Go to Submit

주간 건강과 질병 소개

표지이미지

주간 건강과 질병(Public Health Weekly Report) (약어명: Public Health Wkly Rep, PHWR)은 질병관리청의 공식 학술지이다.

주간 건강과 질병은 국가 공중보건 관련 조사‧감시‧연구 결과에 대한 근거 기반의 실용적이며 권위있는 정보를 보건의료인, 공중보건 종사자, 역학자, 국민 등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목적으로 발행된다.

주간 건강과 질병은 신속한 전문가 심사를 거쳐 감염병과 비감염성 질병, 손상과 중독, 건강증진 등과 관련된 조사/감시보고, 유행보고, 현장 보고, 연구논문, 리뷰와 전망, 지침과 정책보고 등의 원고를 게재한다. ... 더보기

PHWR